웨이커, 카카오페이증권에 온톨로지 기반 AI 라벨링 뉴스 데이터 공급… 데이터의 ‘활용 맥락’ 강화

증권 시장 특화 AI 기업 웨이커가 카카오페이증권에 AI 데이터를 공급한다. 온톨로지 기반 기술로 실시간 데이터를 자동 분류·태깅해 관련 없는 데이터 노이즈를 줄이고, 각종 디지털 서비스 및 LLM이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게 된다.

이번 적용으로 카카오페이증권은 방대한 뉴스 스트림을 정확하고 일관된 메타데이터로 정제해, 사용자에게 더 빠르고 개인화된 종목 뉴스 탐색과 알림, 리스크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웨이커는 온톨로지 기반의 AI 라벨링을 강점으로 특화 인공지능 R&D를 지속하고 있다. 회사는 글로벌 증시에서 발생하는 비정형 텍스트를 추출·변환·적재(ETL)한 뒤, 자체 분류 체계를 활용해 AI 활용이 용이한 ‘AI-ready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왔다. 이 과정에서 주제·산업코드·이벤트·종목 등 다양한 메타데이터를 자동 부여할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이 설계되어 있다.

황규종 웨이커 대표는 “AIX로 사용자에게 노이즈가 될 수 있는 방대한 실시간 데이터 경험은 막을 내리고 최적화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보편화될 것”이라며 “AI라벨링 데이터로 투자자의 상황과 성향에 적합한 투자 의사결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디지털 플랫폼 뿐 아니라 LLM이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웨이커 AI 라벨러는 방대한 글로벌 뉴스에 태그와 관련도로 노드 간의 상관관계 및 우선순위를 부여해 고객사의 비즈니스 성과와 투자자들의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말했다.

카카오페이증권은 웨이커의 특화 인공지능을 통해 로이터 원문 가공과 종목 태깅, 필터링에서 범용 LLM 대비 우수한 품질을 확인하여 도입했다. 이를 바탕으로 개별 종목 내 뉴스 서비스 품질을 강화하고 있다.

업계에선 모바일 브로커리지 환경에서 중복 기사, 불완전한 종목 매핑, 낮은 관련성 등으로 인한 피로도가 커지는 상황에서, 데이터의 필터링과 가독성을 신뢰도를 끌어올리는 핵심 요소로 꼽는다. 웨이커의 데이터는 API/MCP 등 형태로 활용할 수 있어 카카오페이증권 앱의 종목별 뉴스 화면에 적용된다.

웨이커는 설립 이후 약 6년 간 증권 시장 데이터에 특화된 AI 기업으로 R&D해오며 신한투자증권, 하나증권 등 국내 증권사 뿐 아니라 코스콤과 같은 데이터 벤더에도 데이터를 공급하며 AI 기술로 안정적 대고객 실시간 서비스를 운영해왔다

회사 측은 “데이터에 의미와 우선순위를 부여해 노이즈는 줄이고 최적화된 데이터 효용을 사용자가 느껴 더 나은 투자 의사결정에 데이터를 활용하는 경험을 만드는 것이 목표”로 하고있다. 이러한 데이터 경험의 글로벌 고객사 확장을 위해 LSEG Data&Analytics(구 레피니티브)와 증시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라이선싱과 공동사업을 지속해가고있다.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