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레피니티브

  • 웨이커, 팔란티어와 손잡고 증시 데이터 특화 AI 온톨로지 연구 … 증권 시장 ‘최초’

    웨이커, 팔란티어와 손잡고 증시 데이터 특화 AI 온톨로지 연구 … 증권 시장 ‘최초’

    인공지능 스타트업 웨이커가 미국의 팔란티어와 협력, 증권 시장 데이터에 특화된 AI 온톨로지와 분석 워크플로 연구(R&D)를 진행했다고 21일 밝혔다. 증권 시장을 겨냥한 팔란티어 협력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웨이커는 팔란티어 파운드리·AIP의 운영 원칙과 글로벌 모범 사례를 참조해, 증권 시장에 맞춘 특화 프레임워크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데이터 거버넌스, 파이프라인 관리, 분석 자동화 역량을 검증했다.

     

    웨이커는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이 아닌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특화 AI 기업이다. 글로벌 증시의 원시 데이터를 추출·변환·적재(ETL)하고 자체 온톨로지 기반 라벨링을 통해 ‘AI 레디 데이터베이스(AI Ready Data Base)’를 구축하고 있다. 나스닥 그룹의 토털뷰(TotalView) 데이터 라이선스 벤더이자, LSEG 데이터&애널리틱스(구 레피니티브)의 AI 데이터 사업 파트너이기도 하다.

     

    이번 연구는 웨이커가 자체 개발 중인 증권시장 특화 AI 시스템 ‘WAISOD’와 글로벌 증시 데이터 온톨로지 ‘WOOSAIN’의 2단계 프로젝트에 해당한다. 웨이커는 위젯과 API 등 고객사가 원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증시 데이터를 제공할 계획이다.

     

    데이터 솔루션은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태스크 지향의 자연어 설명과 스키마 제약이 적용된 MCP(Model Context Protocol), WSS(WebSocket Secure),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방식에 따라 활용할 수 있다.

     

    위젯 솔루션은 그래픽 인터페이스 형태 데이터셋의 특징에 따라 데이터의 효용을 사용자가 체감할 수 있는 SDK(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iframe 임베드(웹 삽입형 컴포넌트), MCP로 제공되어 디지털 플랫폼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

     

    AI 솔루션은 AI API로 LLM오케스트레이션과 MoE 등 특화 기술로 구성된 WAISOD AI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웨이커의 데이터 및 위젯 MCP와 연동 시 더 높은 효용을 낼 수 있다.

     

    황규종 웨이커 대표는 “증권 시장 데이터 밸류체인 전 과정을 아우르는 온톨로지와 AI 운영 역량을 빠르게 내재화하고 있다”며 “이번 성과를 기반으로 확장 가능한 기술 로드맵과 협력 범위를 넓혀가겠다”고 말했다.

     

    웨이커는 조만간 국제 학술 연구기관과의 컨소시엄을 통해 3단계 연구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관련 언론보도

     

    웨이커, 팔란티어와 증시 데이터 특화 AI 온톨로지 연구 … 증권 시장 ‘최초’

    2025/08/21인공지능신문

    웨이커, 팔란티어와 손잡고 증시 특화 AI 온톨로지 연구 … 증권 업계 ‘최초’

    2025/08/21조선비즈

    웨이커, 팔란티어와 증시 데이터 특화 AI 온톨로지와 분석 워크플로 연구(R&D) 진행

    2025/08/21데일리시큐
  • 웨이커 2024 CES 인공지능 부문 혁신상 수상

    웨이커 2024 CES 인공지능 부문 혁신상 수상

    글로벌 증시 데이터 기술 회사 웨이커가 2024년 CES 인공지능 부문 혁신상을 수상했다. 미국에서 열리는 세계 기술 박람회인 CES에서 인공지능 부문 혁신상을 수상한 전세계 25개 사 중 유일한 데이터 기업으로, 기술 역량을 통해 증시 데이터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선도적인 입지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웨이커는 LSEG Refinitiv, 코스콤 등 증시데이터 기업과 나스닥그룹과 같은 증권거래소 등 파트너들과 함께 증시 데이터 상품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기존에는 의미를 찾기 어렵거나 속도와 정확도의 한계가 있던 증시 데이터들은, 웨이커를 통해 주가와의 상관계수가 높은 의미있는 데이터셋으로 분류되어 상품화되고, 속도와 정확도의 한계를 돌파하는 데이터 상품으로 개선된다.

     

    전세계 유수의 증권사 및 자산운용사들이 웨이커의 기술에 기반한 증시 데이터 상품을 도입해 디지털 서비스에 활용하기 시작하며, 데이터에 기반한 금융투자업의 산업 환경의 혁신이 가속화될 것이다.

    관련 언론보도

     

    웨이커, CES 혁신상 신청서 쓰는법

    2024-01-08조선일보

    인류 삶 바꿀 AI 혁신상, 국내 기업이 휩쓸어

    CES 2024 신설된 AI 부문 28개 혁신상 중 웨이커 포함 16개 한국 스타트업이 수상

    2024-01-06조선일보

    K-벤처·중기 'CES 2024'서 역대 최다 혁신상 수상

    웨이커, AI 기반 글로벌 증시 데이터베이스 구축·활용 기술로 혁신상 수상

    2024-01-08AsiaTimes Korea

    中企부, CES 혁신상 수상기업 웨이커 방문…글로벌 진출 애로 청취

    오기웅 중소벤처기업부 차관이 CES 2024 인공지능 부문 혁신상을 수상한 웨이커를 방문, 글로벌 진출 애로사항을 듣고 격려

    2024-01-25중소벤처기업부

    중기부, CES 2024 혁신상 수상 기업과 간담회…웨이커 등 4개 스타트업 대상

    중소벤처기업부가 CES 2024 혁신상 수상 기업인 웨이커 등을 대상으로 현장 간담회 개최, 글로벌 진출 정책에 의견 수렴

    2024-01-26벤처스퀘어
  • 웨이커, 증시 데이터 특화 AI 기술개발…LSEG와 글로벌 데이터 사업 전개

    웨이커, 증시 데이터 특화 AI 기술개발…LSEG와 글로벌 데이터 사업 전개

    인공지능(AI) 증시 데이터 스타트업 웨이커는 런던증권거래소그룹(LSEG)과 독점 실증 계약을 맺고 초대규모언어모델(LLM) 기반의 AI 데이터 서비스를 씨티, HSBC, 노무라 등 글로벌 투자은행(IB)들에게 제공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4분기부터 시작된 실증 계약을 통해 웨이커의 데이터 서비스는 LSEG 글로벌 고객사들을 대상으로 단계적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2020년 창업한 웨이커는 AI 증권 데이터 기술 개발 기업으로 글로벌 기업들의 수시, 정기 공시와 IR자료, 기사에 담긴 정보 중 타겟 데이터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DB로 만드는 특화 자연어처리 모델을 연구 개발해왔다.

    웨이커는 현재 LSEG의 계열사로 편입된 세계 2위 증시 데이터 생산 및 유통기업 레피티니브와 함께 업무협약(MOU)를 맺고, 15개월 동안 AI 데이터 추출 정확도와 속도 및 성능에 대한 검증 기간을 거쳤다.

    황규종 대표는 “이번 LSEG와 맺은 계약은 디지털 상의 공시, 뉴스, 리포트 등에 있는 정보 내 타겟 데이터들을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등 전세계 고객사들의 수요에 맞춰 AI로 가공 후 편리하게 제공한다는 내용”이라며 “현재 LSEG에는 4만 개 이상 기업고객이 존재하고, 이 고객들을 상대로 공급될 것”이라고 말했다.

    웨이커가 다년간 R&D(연구개발)해온 자연어처리 기술은 기업의 사업 계약, 경영 의사결정, M&A, 지분 변동 등은 비정형 정보들이기에 때문에 범용 LLM 대비 특화 분야로의 잠재력을 인정받았다. 비정형 정보는 일반적으로 텍스트 중심으로 돼있으며 숫자, 사실과 같은 데이터도 포함한다. 이로써 변칙과 모호함이 발생한다.

    데이터베이스의 셀 양식에 저장되거나 문서에 주석화된 데이터에 비해 단순한 크롤링, 스크랩핑 등 기술로 데이터베이스화 하거나 분석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해당 데이터를 증권업과 자산운용업에서 활용할 때에 부가가치가 커 한 기업 고객 당 수억원의 연간 비용 지출이 이루어지는 분야다. 웨이커 AI는 7B 이상의 방대한 데이터 학습을 통해 영어와 한국어 등으로 되어 있는 비정형 정보들을 자동 분석해 데이터화해 고객 수요에 맞춰 제공한다

    웨이커는 이번 사업 실증 및 공동 사업 계약이 웨이커의 글로벌 수익 성장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 인도, 일본, 중국, 한국을 포함한 주요 증시 상장기업들의 비정형 정보들을 데이터화하는 웨이커의 맞춤형대규모언어모델(sLLM)이 LSEG와 만나 글로벌 입지를 구축해가며 양사 공헌이익을 증진시키는 계기로 작용할 전망이다.

  • 웨이커, 런던거래소그룹 레피니티브와 글로벌 증시 데이터 사업 확대 업무협약 체결

    웨이커, 런던거래소그룹 레피니티브와 글로벌 증시 데이터 사업 확대 업무협약 체결

    인공지능 증시 데이터 스타트업 웨이커가 런던거래소그룹(LSEG) 레피니티브와 글로벌 금융 데이터 시장의 SaaS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사업 제휴 계약을 체결했다.

    2021년 런던거래소그룹이 약 35조 원에 인수한 레피니티브는 블룸버그와 더불어 세계 최대 규모의 글로벌 금융정보회사 중 하나다. 현재 약 2만 명의 임직원들이 다양한 금융 정보를 취합, 분석, 결합 및 가공하여 4만여 금융기관에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며 연 6조 원 수준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웨이커는 그간 증시 데이터 산업에서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여겨졌던 데이터 수집, 구축 및 사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UX/UI를 개선하여 증시 데이터 수요 기업에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국내 인공지능 증시 데이터 스타트업다. 이를 통해 고객의 글로벌 증시 데이터 경험을 혁신하겠다는 포부다.

    각 사는 경쟁력을 극대화한 통합 서비스를 위해 상호 협력하며, 글로벌 증시 데이터 시장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T),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AI 활용 수요 공략을 위한 서비스 개발과 런던거래소그룹 레피니티브의 세계 최대 금융기관 네트워크를 활용한 세일즈 등에 나선다.

    레피니티브 코리아 김석준 대표는 “웨이커는 12개 국가, 7만 개 이상의 상장 종목 데이터를 보기 드물게 직접 처리하며 국내외에서 괄목할 성과를 내고 있다”라며, “웨이커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시간 증시 데이터 처리 및 활용 기술은 세계 최초의 미국 상장 기업 공시 분석 사례와 플랫폼 구현 기술들을 통해 이미 글로벌 잠재력을 입증하고 주목받는 중이다. 금융의 가장 기본적이고 궁극적인 자산인 데이터 산업에서의 동반 혁신이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웨이커 황규종 대표는 “웨이커의 기술과 사업 전략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이어진 파트너십 기회를 살려 글로벌 사업화에 박차를 가할 것이다. 레피니티브 170년의 역사에 기반한 브랜드와 전 세계 약 4만 개 금융기관 네트워크 및 데이터를 활용해 혁신을 만들고 도약할 감사한 기회로 여기며 적극적 협업해 함께 성장해 가겠다.”라고 언급했다.